2017년부터 UHD 방송이 시작된다는 점 모두 알고 계신가요?
2017년 2월부터 지상파 3사에서도 UHD 방송이 시작될 예정이라고 해요.
Ultra High Definition 줄여서 UHD라고 부르는 이 용어는
선명도가 엄청나게 높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지금보다 선명도가 높은! 방송을 볼 수 있게 된다는 거죠.

아직까지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Full HD TV를 사용하고 있지만
2012년 이후로 지상파 UHD 방송에 대한 기대가 점점 높아지고,
각종 UHD TV가 출시되면서 UHD TV를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어요.
사실 저도 UHD TV가 정확히 어느 정도로 좋은 건지 잘 모르고 있었는데요ㅜㅜ
저처럼 TV를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정보성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이미 잘 아시는 분들에게는 쉬운 내용일 수도 있지만
그래도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해보도록 할게요.
오늘은 먼저 UHD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도대체 UHD는 FHD에 비해 어느정도로 화질이 좋은 걸까요?
쉽게 이해하기위해 해상도 크기별로 비교할 수 있도록 만든 이미지입니다.
HD, FHD, QHD까지만 해도 그렇게 아주 크다는 느낌은 없는데
UHD 사이즈로 가니까 정말 크다는게 느껴지네요.
위 이미지에서 가로, 세로에 쓰인 숫자가
해상도를 구성하는 점인 화소의 개수인데요,
가로축과 세로축을 곱하면 화소의 총 개수를 구할 수 있겠죠?
참고로 4K UHD는 FHD 화소수의 4배,
8K UHD는 4K UHD 화소수의 4배입니다.
2배도 아니고 4배로 늘어나다니 정말 엄청나죠.
UHD는 현재 3가지 해상도를 지칭하고 있어요.
4K는 원래 4096 X 2160 해상도를 의미하는 용어였는데
소니를 포함한 일부 가전 업체에서 3840 X 2160 해상도를 4K라고 지칭하면서
4K는 3840 X 2160 해상도와 4096 X 2160를 모두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2012년 전미가전협회에서 4K UHD를 3840 X 2160으로 규정함에 따라
TV나 모니터는 가전협회의 기준을 따라 대부분 3840 X 2160 규격으로 출시가 되었어요.
하지만 영화나 카메라용 규격은 4K를 4096 X 2160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엄밀하게 말하면 TV와 영화의 4K 규격은 다르다고 말할 수 있겠네요.
8K UHD TV는 이제 막 시장에 출시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제품이 많지 않아서
일반적으로 UHD TV라고 하면 4K, 즉 3840 X 2160 해상도의 TV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상도에 대한 내용은 다들 아주 정확히는 몰라도 대충은 알고 계셨겠지만
UHD의 해상도와 영상을 보여 드리고 싶은 마음에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 됐네요.
'Show Me the Evi' 카테고리의 다른 글
efi 시스템 파티션을 삭제하고, 디스크를 초기화하는 방법 (0) | 2025.01.14 |
---|---|
가상 램 가상 메모리 추가 (0) | 2024.03.03 |
게임 부스터 및 컴퓨터 최적화 프로그램 Smart Game Booster (1) | 2023.09.19 |
안드로이드 버전별 해상도 (0) | 2023.07.20 |
갤럭시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음' 해결 (0) | 2023.07.04 |